이제 처벌 반대를 넘어 세상을 바꿀 때가 왔다.-‘성과 재생산 권리 보장 기본법(안)’ 제안에 부쳐
- 댓글이 없습니다.
- 2020.07.06.
- 셰어[SHARE]
- 2020년 6월 이슈페이퍼
나영 [기획의 글]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가 형법 제27장 ‘낙태의 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관련법의 개정 시한으로 제시했던 2020년 12월 31일이 이제 6개월 남았습니다. 2012년 당시의 결정과는 다르게 2019년 헌법재판소 결정문이 보여준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면 국가의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해 온 ‘낙태죄’의 역사가 바로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의 침해이며, 따라서 국가가 사회경제적, 의료적 보장을 통해 그 […]
게시물 열기‘성·재생산 권리 보장 기본법(안)’의 제안을 기대하며
- 댓글이 없습니다.
- 2020.07.06.
- 셰어[SHARE]
- 2020년 6월 이슈페이퍼
오승이 / 인천지법 판사 [기획의 글]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가 형법 제27장 ‘낙태의 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관련법의 개정 시한으로 제시했던 2020년 12월 31일이 이제 6개월 남았습니다. 2012년 당시의 결정과는 다르게 2019년 헌법재판소 결정문이 보여준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면 국가의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해 온 ‘낙태죄’의 역사가 바로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의 침해이며, 따라서 국가가 사회경제적, 의료적 […]
게시물 열기임신중단 규제에 있어서 기한방식의 논리적 한계
- 댓글이 없습니다.
- 2020.07.06.
- 셰어[SHARE]
- 2020년 6월 이슈페이퍼
이은진 / 젠더법학 연구자,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SHARE 입법 내비게이션 팀 연구활동가 [기획의 글]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가 형법 제27장 ‘낙태의 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관련법의 개정 시한으로 제시했던 2020년 12월 31일이 이제 6개월 남았습니다. 2012년 당시의 결정과는 다르게 2019년 헌법재판소 결정문이 보여준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면 국가의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해 온 ‘낙태죄’의 […]
게시물 열기타협의 대상이 되지 않을 온전한 나의 권리를 위해
- 댓글이 없습니다.
- 2020.07.06.
- 셰어[SHARE]
- 2020년 6월 이슈페이퍼
정민주 / 페미니스트 활동가 [기획의 글]2019년 4월 11일, 헌법재판소가 형법 제27장 ‘낙태의 죄’에 대해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리면서 관련법의 개정 시한으로 제시했던 2020년 12월 31일이 이제 6개월 남았습니다. 2012년 당시의 결정과는 다르게 2019년 헌법재판소 결정문이 보여준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면 국가의 책임을 개인에게 전가해 온 ‘낙태죄’의 역사가 바로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권의 침해이며, 따라서 국가가 사회경제적, 의료적 […]
게시물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