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
- 한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2019.11.29.
- 셰어[SHARE]
- 2019년 11월 이슈페이퍼
한 페미니스트가 이런 질문을 했습니다. “남자가 월경을 한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그리고 상상합니다. “그렇게 되면 분명 월경이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자랑거리가 될 것이다. 남자들은 자기가 얼마나 오래 월경을 하며, 생리량이 얼마나 많은지 자랑하며 떠들어댈 것이다. 처음으로 월경을 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선물과 종교 의식, 가족들의 축하 행사, 파티들이 마련될 것이다. 지체 높은 정치가들이 생리통으로 인해 […]
게시물 열기성
- 한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2019.11.29.
- 셰어[SHARE]
- 2019년 11월 이슈페이퍼
성 성이라는 개념은 매우 넓습니다. 개인의 행위와 정체성이자 사람간의 관계이며, 문화와 규범, 법과 제도를 아우릅니다. 따라서 성에 관한 지식과 정보를 민주화하고, 성에 개입되는 차별과 폭력 문제를 다루고, 문제적인 법과 관행을 바꾸기 위해서 제도를 만들고 문화운동을 하는 것이 필수적인 영역입니다. 만일 이러한 사회적인 노력이 뒤따르지 않을때 차별받는 소수자들은 심각한 인권침해를 경험합니다. 이에 대해 국가가 나서서 차별을 […]
게시물 열기재생산
- 댓글이 없습니다.
- 2019.11.29.
- 셰어[SHARE]
- 2019년 11월 이슈페이퍼
국제인권규약에서 ‘재생산 권리’라는 표현이 처음 등장한 것은 1968년 테헤란 국제인권회의에서였지만, 본격적으로 ‘재생산’이 인구문제에서 ‘권리’와 ‘건강’의 프레임으로 전환된 시기는 1994년 카이로 국제인구개발회의와 1995년 북경 세계여성대회를 그 기점으로 봅니다. 이에 따르면 ‘재생산 건강’은 재생산 능력과, 정보에 입각한 자유롭고 책임있는 결정을 내릴 자유로서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와 물품, 시설, 서비스에 대해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처럼 확장된 ‘재생산 […]
게시물 열기정의
- 댓글이 없습니다.
- 2019.11.29.
- 셰어[SHARE]
- 2019년 11월 이슈페이퍼
이 카테고리에서는 ‘재생산 정의 reproductive justice’에 관한 주제들을 다룹니다. 재생산 정의 운동은 1980년대 후반 미국의 선주민 여성들과 비백인 여성 단체들을 중심으로 선택권을 강조하는 프로 초이스 pro-choice 운동의 한계를 비판하면서 제안된 것으로, 재생산 권리와 건강권을 보장할 수 있는 사회정의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운동입니다. 1970년대 낙태죄 폐지 운동으로 시작된 프로초이스 운동은 점차 ‘재생산 권리’에 관한 내용으로 확장되어 […]
게시물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