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다] 새로운 시민 연대와 관계성 만드는 ‘가족구성의 권리’
가족구성권연구소, 가족정책의 새 방향 제안하는 토론회 열어
포착되지 않는 삶, 제도로부터 배제된 삶이 없도록
<‘가족다양성’을 넘어 차별과 불평등 해소를 위한 가족정책을 제안하며> 토론회에서는 가족구성의 권리와 깊게 연결되어 있는 재생산정의 운동, 장애인 탈시설 운동, 빈민 운동, 성소수자 운동, 주거권 운동 분야의 전문가들도 각각 의견을 보탰다.
나영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대표는 다시 한번 “‘다양한 가족’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고 짚으며, 단지 “인정되지 않았을 뿐”이라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인구재생산이 아니라 ‘삶의 재생산’이 되어야 한다. ‘취약가족’, ‘위기임신’ 대신 재생산정의의 관점에서 고려하는 가족정책이 필요하다”며, 나영 대표는 다음과 같이 주문했다.
“‘위기임신’을 지원하여 시설과 입양으로 귀결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한 임신중지와 양육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피해를 당하지 않을 권리가 아니라 삶의 역량을 지닐 권리로서 성적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일다] 새로운 시민 연대와 관계성 만드는 ‘가족구성의 권리’
가족구성권연구소, 가족정책의 새 방향 제안하는 토론회 열어
포착되지 않는 삶, 제도로부터 배제된 삶이 없도록
<‘가족다양성’을 넘어 차별과 불평등 해소를 위한 가족정책을 제안하며> 토론회에서는 가족구성의 권리와 깊게 연결되어 있는 재생산정의 운동, 장애인 탈시설 운동, 빈민 운동, 성소수자 운동, 주거권 운동 분야의 전문가들도 각각 의견을 보탰다.
나영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대표는 다시 한번 “‘다양한 가족’은 새로운 현상이 아니”라고 짚으며, 단지 “인정되지 않았을 뿐”이라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인구재생산이 아니라 ‘삶의 재생산’이 되어야 한다. ‘취약가족’, ‘위기임신’ 대신 재생산정의의 관점에서 고려하는 가족정책이 필요하다”며, 나영 대표는 다음과 같이 주문했다.
“‘위기임신’을 지원하여 시설과 입양으로 귀결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한 임신중지와 양육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는 정책”이 필요하며, “피해를 당하지 않을 권리가 아니라 삶의 역량을 지닐 권리로서 성적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