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성년자 의제강간 연령기준 상향과 함께 사라진 청소년의 ‘동의 능력’

2020-06-08

[비마이너] 미성년자 의제강간 연령기준 상향과 함께 사라진 청소년의 ‘동의 능력’

지난 5월 19일, 형법 상 미성년자 의제강간 연령 기준이 만 13세에서 만 16세로 상향됐다. 그동안 형법 제305조에 근거해 만 13세 미만의 사람을 간음 또는 추행한 자는 상대방의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처벌해왔다. 그런데 올해 텔레그램 N번방 사건을 계기로 수많은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성착취 및 성착취물 제작·배포가 드러나자, 법무부와 국회에서는 신속하게 미성년자 의제강간 연령 기준을 만 16세로 높였으며, 5월 19일부터 법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의제강간 연령을 높여도 해결되지 않는 문제들이 존재한다. 우선, 과연 만 16세 미만의 사람들은 동의 능력이 없는 것일까? 이와 관련하여 의제강간 연령 기준과 유사하게 장애인에게 동의능력을 묻지 않고 ‘신체적인 또는 정신적인 장애로 항거불능 또는 항거곤란 상태에 있음’을 증명하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아래 성폭력처벌법) 제6조를 참고할 수 있다. 이는 장애인에 대한 성폭력을 엄중 처벌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과연 정말로 장애인의 ‘동의 능력’을 제외했을 때 성범죄 가해자는 엄중 처벌됐을까? 가해자 처벌을 넘어 이 사안에서 고민해보아야 할 또 다른 지점은 무엇일까? 이러한 물음과 고민을 가지고 한국성폭력상담소는 4일, ‘16세 미만의 동의: 가해자 처벌과 역량 보장 사이에서’라는 주제로 이슈 대응 집담회를 열었다.

가해자의 행위·국가 통제가 아닌 ‘피해자 동의’를 기준으로 성폭력 문제 고민해야

먼저 나영 성적권리와 재생산정의를 위한 센터 셰어 활동가는 현재 한국의 법체계가 당사자의 자기결정권이 아닌, 가해자 행위를 중심으로 폭행 또는 협박, 성기 삽입 여부로 성폭력을 판가름해왔다고 설명한다. 통신매체를 이용한 음란 행위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의 경우에도 역시 피해자의 자기 의지보다는 성적 욕망이나 수치심을 유발하는 내용인지 등을 그 기준으로 두고 있다. 이처럼 지금의 법은 피해당사자의 성적 자기결정권과 존엄성을 침해하는 행위로서 성폭력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가해자의 행위와 국가가 통제하고자 하는 규범과 도덕을 기준으로 다룬다.

따라서 ‘동의’를 기준으로 성폭력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는 먼저 피해자를 누군가의 보호와 통제 속에 있는 사람으로 보기보다는 자율권을 지닌 한 개인으로 인정해야 한다. 두 번째로 가해자의 행위를 기준으로 하기보다는 피해자의 맥락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세 번째로 음란한 행위를 처벌하는 ‘국가 대 개인’의 구도가 아닌, 개인에게 행해진 폭력의 맥락과 사회적 조건을 문제로 삼는 ‘국가-가해자-피해자’의 구도로 보아야 한다. 네 번째로 폭력의 개념을 ‘폭행이나 협박’이 아닌 개인의 자율권을 침해하는 행위로서 다뤄야 한다. 마지막으로 보호받을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구분하기보다는 ‘누구나 성적 권리를 침해당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그러나 청소년은 동의 역량 실천해볼 기회조차 제대로 주어지지 않아 즉, 성폭력을 존엄한 개인의 권리침해 문제로 바라봤을 때, 단순히 나이나 장애를 근거로 동의 역량이 없다고 판단하고 무조건 금지하는 것은 자칫 위험할 수 있다. 그보다는 사전에 우리 사회가 당사자의 동의를 보장할 수 있는 요건들을 충분히 마련했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또한 사건 당시의 행위만이 동의의 대상이 아니라, 지속적인 관계를 맺는 과정에서 서로 간의 동의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동의는 매번 확인되어야 하고 언제든 철회될 수 있음이 전제되어야 한다. 특히 나영 활동가는 동의에 대한 논의에서 삭제되는 맥락을 강조하면서 청소년과 장애인을 꼽았다. 이들은 집, 시설, 학교에서 일상적으로 보호와 통제의 대상이 되며, 성적 주체이기보다는 성적 대상으로 간주하여 동의 능력조차 없을 것이라고 여겨진다.

나영 활동가는 의제강간 연령 상향에 대해 모두가 제대로 된 판단능력을 갖추고 있기도 하고 어떨 땐 아니기도 한데, 청소년이라고 무조건 동의 역량이 없다고 볼 수는 없다고 설명한다. 또한, 청소년은 동의 역량을 실천해볼 기회조차 제대로 주어지지 않기에 이를 실천할 수 있는 조건부터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나영 활동가는 최근 18세 청소년에게 참정권을 보장한 것과 같이 청소년의 권리가 더욱 확대되고 보장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한 사람의 판단 능력에 대해 나이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의 위치를 확보할 수 있는 조건들을 늘려가면서 동의 역량의 쟁점을 돌파해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로 청소년에게 안전하고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공간을 지원해야 한다. 집, 쉼터 등 ‘성인들이 보호해주는 쉼터’라는 전제를 넘어 스스로 살아갈 수 있는 자원을 만들어주고, 이를 통해 다른 폭력적인 관계로 가지 않게끔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사회적 편견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능력 등을 가질 수 있는 포괄적인 성교육이 필요하다.

(전문보기) http://www.beminor.com/news/articleView.html?idxno=14754

(관련 보도)

[프레시안] '의제강간', 13세 미만에서 16세로 올리면 끝인가요

[집담회] 16세 미만의 '동의' : 가해자 처벌과 역량 보장 사이에서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0060418305314081?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0DKU

[여성신문] 의제강간 연령 13→16세로... 처벌 기준만 높이면 끝인가요?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9903

[일다] ‘동의하지 않을 권리’는 보장되고 있는가? 의제강간 연령 상향, 더 확장해야 할 논의들

https://www.ildaro.com/8760

셰어의 활동 소식과 성·재생산에 관한 뉴스를 받아보고 싶다면 지금 바로 셰어의 뉴스레터를 
신청해 보세요. 알찬 소식으로 가득찬 뉴스레터를 월 1회 보내드립니다!